
[와이뉴스] 황새과에 속하는 겨울철새로 몸무게 4-5kg, 몸길이 112cm, 부리길이 30cm 정도 되는 대형조류다. 몸 전체가 흰색이며 날갯깃은 검은색이고, 이 때문에 날개를 접고 있을 때 꼬리를 포함한 뒷부분이 검게 보인다.
4개의 발가락 가운데 3개는 앞을 향하고 1개는 뒤를 향해 있다. 나뭇가지를 움켜잡을 수 있는 구조여서 나무 위에서 생활이 가능하며, 발가락 사이에 작은 물갈퀴가 있어 논이나 습지 등을 걷는 데도 유리하다.
3월 중순에서 5월 사이 한배에 3-4개의 흰 알을 낳아 약 30일간 품은 후 53-55일간 키운다.
먹이로는 개구리, 미꾸라지, 곤충 등을 먹으며 겨울에는 벼뿌리도 캐먹는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농약 등의 사용으로 먹이활동이 용이하지 않다고 한다.
1900년대 초까지 동북아시아 지역에 광범위하게 서식했으나, 1970년대 이후 한국과 일본의 번식 개체군은 절멸하고 러시아, 중국의 번식 개체군도 감소했다.
국내에서는, 광복 전까지는 황해도와 충북 일원에서 흔히 번식하던 텃새였으나, 현재는 충남 천수만과 전남 순천 주남저수지, 경남 창녕 우포 늪 등지에 불규칙적으로 5-10마리 정도가 겨울 철새로 날아온다.
전세계에 660마리 정도만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멸종 위기 국제 보호새로,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자료 참조: 황새생태연구원,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립생물자원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