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이영주 [와이뉴스] 세상의 모든 부모는 위대하다. 어머니의 경우 자식의 탄생 과정에서 자신의 신체 공간에서 부(夫)와 본인의 2세를 ‘배양’해낸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또한 이는 모두 자란 생명체(자식)를 본인의 신체 밖으로 나오게 하는 출산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점에서 때로는 혹독하고 또 한편 경이롭기까지 하다. 이는 결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 전 과정에 어머니의 희생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익히 인지하고 있는 바일 것이다. 출산의 고통은 인간이 감지 가능한 고통 중 상위에 랭크된다고 한다. 해외의 한 연구에서는 여성의 초산의 고통이 과거 형벌인 거열형과 맞먹을 정도라고 하니 그 고통은 가히 상상할 수조차 없는 수준이다. 또한 출산 후에도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까지 할 정도로 여성의 신체는 출산을 거치며 많은 ‘훼손’을 겪는다. 아버지라고 해서 자식을 키우는 일에 비중이 적은 것은 또 아니다. 대체로 가정에서 육아와 살림을 어머니가 맡을 동안 부(夫)는 대외 활동과 경제적인 부분을 책임진다. 직장에서의 힘든 일과, 내키지 않는 인간관계까지 이들은 묵묵히 수행하며 가정을 위해 헌신하는 측면이 있다. 남자들의 세계는 여성들의 사회와는
[와이뉴스] A씨는 40대 후반의 직장인 여성이다. 2025년 6월 초 우연히 듣게 된 A씨의 사연을 본인의 수락을 구한 후 인터뷰 글로 재구성해 게재한다. 다만 익명성 성립을 위해 A씨로 지칭한다. A씨의 아버지는 20대 후반쯤 당시 20대 중반의 어머니와 연애 결혼을 했고 자녀들을 낳고 평범하게 살고 있었다. 결혼 몇 년 후 A씨의 어머니가 갑자기 몸이 불편해졌고 신체적 장애를 갖게 됐다. 그 후로 A씨의 아버지는 폭력이 더욱 심해졌다. 아버지의 어머니를 향한 폭력은 결혼 직후 시작됐다고 한다. 그 당시 이혼은 여성에게 큰 흠이었기에 A씨의 어머니는 쉽사리 이혼을 결정할 수 없었다. 몸이 불편해진 후 아버지의 폭행은 매우 심해졌고 아이를 이미 몇이나 낳은 A씨의 어머니는 ‘견디거나 잠시 아이들과 도망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는 밥을 먹다가도, 저녁에 술을 마시고 귀가하고서도 A씨와 형제들을 비롯해 어머니에게 아무 이유 없는 폭력을 행사했다. A씨는 고등학교 진학을 ‘명분’으로 열여섯 살 나이에 집을 떠났다. 그래도 편하지는 않았다. 집에 남은 어머니와 동생이 여전히 아버지에게 ‘고통을 당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매주
[와이뉴스] 왕송호수는 제방길이 640m, 총저수량 207만 톤의 저수지로 사계절 철새 도래지이자 다양한 어종 및 습지식물, 수중식물이 분포돼 있는 곳이다. 조류생태과학관, 자연학습공원, 맑은물처리장 등의 시설이 주변에 있어 자연 생태학습교육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왕송호수는 수도권 중심부에 입지하고 있으며 인근 안양, 군포, 과천, 수원, 성남 등, 6개 시와 인접해 있다. 특히 호수의 일몰광경은 수도권에서 보기 힘든 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호수공원에는 맨발길, 연못, 산책로, 공연무대, 잔디밭, 도서관 등의 시설들이 있으며 주변으로 캠핑장, 총 거리 4.3km의 레일바이크, 조류생태존, 연꽃습지, 과학관, 철도박물관, 카페, 맛집 등이 분포하고 있다. -자료참조: 의왕레일파크, 한국관광공사 등 ※ 2025.07.01.
[와이뉴스] 처음엔 아무 생각하지 않고 돌을 들어 보고 그 다음 마음 속으로 간절히 원하는 소원 하나를 떠올리고 다시 들어 본다. 처음보다 무겁게 들리거나 돌이 들리지 않으면 소원이 이뤄진다고 한다. 자신의 소원은 결국 본인이 들어 주는 것이긴 하나 간혹 자신의 의지나 결의를 타인에게 묻고 싶을 때가 있기도 하다. -2025.07.22. 경북 영천 돌할매공원
[와이뉴스] 주변에 산이 있고 나무가 우거져 공기가 유난히 맑고 시원하며 옅은 물냄새를 제외한 악취가 전혀 없고 물소리가 상쾌하여 봄이 아니라도 주변 시민들의 산책 장소로 애용되는 것으로 보였다. 약속은 깨지라고 있는 것이라고도 하나 때때로 어떤 약속은 지켜지기도 한다는 것. -2025.07.22. 경남 진해 여좌천 로망스 다리
[와이뉴스] '고층 건물'에서 시작하는 삶도 있지만, 90도 혹은 120도 넘는 절벽을 가까스로 넘어서고서야 비로소 '시작점'에 서게 되는 생도 있다는 것. -2024.09.04. 광명
[와이뉴스] 영포티(young forty)는 과거의 40대와는 다른 20·30대 못지않은 '젊은 40대'를 뜻하는 용어다. 1968-1974년 2차 베이비붐 세대로 1990년대에 20대를 보낸 X세대를 지칭하며 그 수가 604만 명에 이른다고 전한다. 합리와 상식을 우선시하며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한다고. 해당 용어는, 초기 40대를 새로운 소비층으로 주목한 마케팅 업계에서 창조된 용어라고 전한다. 아울러 해당 세대는 전 세대 가운데 자신들의 사회성을 가장 후하게 평가했다고도 알려졌다. 이 젊은 40대 테스트 항목도 전하는데 다음과 같다. -내 집 마련에 집착하지 않음 -보수 진보 이념보다 합리와 상식 우선시 -결혼, 출산에 대한 관성 수용 안 함 -현실에 충실 -형식과 허용, 체면치레 같은 허식 없음 -트렌드에 민감 -새로운 것에 대한 수용력 높음
[와이뉴스] '풀뱀'은 기존 '꽃뱀'의 골프장 버전이다. 즉, 골프장을 무대로 남성을 이용하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전한다. 대체로 의상과 피지컬을 갖추고 타깃이 되는 남성을 물색한다고 알려져 있다.
[와이뉴스] 인과응보(因果應報)는 원인에는 결과가 있다는 뜻이다. 더욱 상세히는 행한 대로 대가를 받는다는 말로 불교 용어에서 유래됐으며 과거 행위가 현재 혹은 미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윤회사사상과도 관련이 있다고 전한다. 한자로는 인할 인因, 열매 과果, 응할 응應, 갚을 보報를 쓴다. 유사한 의미로 '사필귀정(事必歸正 일은 바른 대로 돌아간다)', '자승자박(自繩自縛 본인의 줄로 자신을 묶는다)', '자업자득(自業自得 본인이 한 일의 본인의 득)' 등이 있다. 또 비슷한 뜻으로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천망회회 소이불루天網恢恢 疏而不漏'라는 말도 있다. 이는 하늘의 그물은 광대해서 성긴 듯하지만 결코 놓치거나 새지 않는다는 뜻이다.
[와이뉴스] '군자보구 십년불만(君子報仇 十年不晩)'은 군자의 복수는 십 년이 걸려도 늦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마천 <사기>에 나오는 '범저채택열전'에 등장하는 말이다. 이는 군자가 원수를 갚는 데에는 10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돼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때를 기다려 복수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아울러, 성급하게 해서는 외려 일을 그르친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관련하여, '유구불보비군자(有仇不報非君子)'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원한이 있는데 갚지 않는 것은 군자가 아니라는 뜻이다. 이 외 중국 속담에는 '복수를 하려면 자신의 한쪽 다리를 내어 놓아야 한다'는 말도 있다고 전한다. 복수의 위험성을 전하는 일본 속담으로 '복수를 하려면 두 개의 무덤을 파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하나는 상대의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것이라는 뜻이다. 한 법조인은 '지혜롭게' 복수하는 방법을 이야기 한 적이 있는데, "상대는 내려가고 나는 올라가는 방법"을 쓰는 것이다. 즉, 자신에게 상처준 이를 완전히 잊고 본인의 삶에 열중함으로써 자신은 사회적으로 올라가고 상대는 지체되거나 내려가는 방법을 택한다는 것이다. 관용에 관한 명언으로는 "진정한 관대함은 복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