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 "향후 5년, 미래 교통 혁신 골든타임… 민관협력 총력"

- (모빌리티) 미래 성장전략으로 모빌리티 혁신성장 로드맵 마련
- (도로) 미래 도로 기술 발전 방향·실천의지 모아 글로벌 경쟁력 확보 기반 마련

 

[와이뉴스]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은 9월 19일 「모빌리티 혁신성장 포럼」 운영위원회(위원장 국토교통부 장관)와'도로분야 스마트기술 활성화 포럼'에 잇달아 참석해, 미래 교통의 혁신을 위한 정책 방향과 민관 협력의 실행 의지를 다지는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

 

두 행사는 민관이 함께하는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국민 생활 편익을 높이는 미래 교통 비전을 모색하고자 추진됐다.

 

먼저, 강 차관은 19일 오전 서울에서 모빌리티 분야 민관 소통 플랫폼인 「모빌리티 혁신성장 포럼」의 운영위원회를 개최해, 산·학·연·관의 대표 기관과 함께 포럼 운영계획, 모빌리티 정책 방향 및 민관 협업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포럼은 ’23년부터 「모빌리티 혁신 포럼」으로 운영되어 왔으며, 국민주권정부의 경제성장 및 국민 소통 기조에 맞춰 「모빌리티 혁신성장 포럼」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민간 전문가의 참여를 대폭 확대(70여명→150명 이상)했다.

 

강 차관은 “앞으로 5년은 AI와 디지털 전환이 우리 경제를 다시 도약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골든 타임이 될 것”이라면서,“모빌리티 역시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AI와 결합해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새로운 성장의 축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강 차관은 “민·관이 힘을 합쳐 다시 총력전을 펼쳐야 할 때인 만큼, 정부는 민간과 상시 소통하며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가 있다면 과감히 혁파하고 성과가 나올 때까지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자율주행 AI 데이터센터 등 삼각 클러스터 구축, UAM 지역별 맞춤형 지원을 통한 버티포트 구축 등 민간이 창의와 혁신을 발휘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도시 단위 대규모 자율주행 실증, UAM 예타급 2단계 R&D, 드론 5대 완성체 프로젝트 등 기술개발 지원도 적극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같은 청사진을 구체화한 모빌리티 혁신성장 로드맵을 연말까지 마련하여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전 일정을 마친 강 차관은 같은 날 오후 건설회관에서'도로분야 스마트기술 활성화 포럼'을 개최했다.

 

“도로 스마트 기술의 미래를 열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및 학회, 협회, 건설사 등 스마트기술 전문가 25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스마트 기술의 현 주소를 점검하고, 향후 스마트 도로 추진 방향에 대한 대내‧외 공유 및 전략적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

 

강 차관은 “’18년 ‘스마트 건설 로드맵’을 시작으로 ’22년에는 보다 실질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고속도로 건설공사에 BIM기술*을 접목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면서, 특히, “’25년도부터는 OSC, MG/MC, 드론 등 스마트기술 적용을 위한 예산을 고속도로 건설현장에 직접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은 “이번 포럼은 단순한 기술 공유의 자리를 넘어, 미래 도로 기술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지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과 실천 의지를 모으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국토교통부는 스마트기술의 현장 정착과 표준화, 산‧학‧연‧관 유기적 협력체계 강화 및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 조성까지 정책적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