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원태인은 기자단 투표 총 32표 중 31표(96.9%), 팬 투표 353,764표 중 209,486표(59.2%)로 총점 78.05점을 기록했다. 2위 5.47점을 기록한 KT 강백호를 제치고 개인 첫 월간 MVP를 수상하는 영예를 안게 됐다. 원태인은 4월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삼성을 리그 단독 1위로 이끌었다. 4월 5경기에 선발 등판해 4승, 평균자책점 1.16을 기록했고 해당 부문에서 모두 리그 1위에 올랐다. 또한 36탈삼진(2위), 을 이닝 당 출루허용률(WHIP) 1.00(공동 4위) 등 투수 부문 대부분의 지표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원태인의 활약으로 삼성은 4월 28일(수) 기준 2015년 정규시즌 마지막 날 이후 2,081일만에 리그 단독 1위(개막 후 10G 이상 기준)에 오르기도 했다. 특히, 원태인은 4월 13일 대구 한화전과 18일 사직 롯데전에서 뛰어난 구위로 각각 10탈삼진씩을 올리며 2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을 달성했다. 2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은 삼성 소속선수로는 역대 4번째이자, KIA 양현종의 2014년 5월 9일 대전 한화전 이후 무려 약 7년만에 달성된 진기록이다. 원태인은
[와이뉴스] 선문대에서 유일한 4학년 선수로서 주장을 맡고 있는 김창수가 우승의 일등공신이 됐다. 김창수는 7일 통영공설운동장에서 열린 제57회 춘계대학축구연맹전 통영기 결승전에 왼쪽 풀백으로 선발 출전했다. 김창수는 안정적인 수비와 적극적인 공격 가담을 통해 선문대의 우승에 일조했다. 최우수선수 타이틀도 그의 몫이었다. 특히 김창수는 멀티 플레이어로서 팀에 기여했다. 이번 대회에서 김창수는 미드필더와 왼쪽 풀백을 병행했다. 팀내 미드필더 자원들이 부상을 당해 김창수가 빈 자리를 메운 것이다. 결승전에서는 왼쪽 풀백으로 선발 출전했다가 경기 막바지에는 미드필더를 맡기도 했다. 안익수 감독의 선수 교체 및 전술 변화에 따라 궂은 일을 마다하지 않았다. 경기 후 만난 김창수는 MVP로 뽑힌 것에 대해 “팀에 4학년이 나 혼자니까 최우수선수를 준 것 같다”며 멋쩍게 웃었다. 이어 그는 “작년 추계대회 탈락 이후 열심히 해서 조직적으로 많이 늘었다. 그러다보니 우승까지 오게 됐다. 여기까지 올 줄 몰랐는데 이렇게 우승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안익수 감독이 부임한 이후 달라진 점에 대해 김창수는 "나는 광주대에서 뛰다가 3학년이던 지난해 편입했다
[와이뉴스] “앞에서 잘 뛰어준 형들 덕분에 뒤에서 잘 막을 수 있었다.” SMC엔지니어링의 막내 임종우가 2020 K5리그 챔피언십의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됐다. SMC엔지니어링은 29일 대전한밭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열린 재믹스FC와의 2020 K5리그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김상우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지난해에 이은 2연패다. 골키퍼 임종우는 90분 내내 안정적인 경기 운영으로 후방을 든든히 지켰고 실점 위기 상황에서는 빠른 판단으로 선방을 펼치며 승리에 공헌했다. 특히 1-0으로 앞서던 후반전에 치열한 세컨볼 싸움으로 동점골을 노리던 재믹스FC의 공세를 잘 막아내며 SMC엔지니어링의 골문을 철통 방어했다. 임종우는 “지난해 결승전에 이어 두 번째 만나는 상대다보니 재믹스FC가 더 이를 갈고 나올 것이라 생각했다. 예상대로 거칠고 힘든 경기였다. 앞에서 형들이 투지 있게 잘 뛰어준 덕분에 뒤에서 편하게 막을 수 있었다. 형들 덕분에 잘할 수 있었다”며 공을 동료들에게 돌렸다. 임종우는 28일 열린 FC투게더와의 준결승전에서도 맹활약을 펼친 바 있다. 정규시간 1-1 무승부 후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선방을
[와이뉴스] 올 시즌 최고의 활약을 펼친 2020 KBO MVP와 신인상 주인공이 발표되는 '2020 신한은행 SOL KBO 시상식'이 11월 30일(월) 오후 2시 임피리얼 팰리스 호텔 그랜드볼룸(7층)에서 개최된다. KBO는 정규시즌 종료 다음날인 11월 1일(일) 하루 동안 MVP와 신인상 투표를 시행했다. 투표에는2020 KBO 리그를 담당한 한국야구기자회 소속 언론사와 각 지역 언론사의 취재기자 112명이 참여했다. KBO MVP는 특정 후보 없이 규정이닝 또는 규정타석을 채우거나 개인 타이틀 부문별 순위 10위 이내의 모든 선수가 대상이 됐다. 신인상 후보는 KBO 표창규정 제7조 KBO 신인상 자격 요건에 따라 2020년 입단했거나 처음 등록된 선수를 비롯해 올 시즌을 제외한 최근 5년 이내(2015년 이후 입단 및 등록 기준)의 선수 가운데 누적 기록이 투수는 30이닝, 타자는 60타석을 넘지 않는 모든 선수를 대상으로 했다. 단, 해외 프로야구 기구에 소속되었던 선수는 신인상 후보에서 제외됐다. MVP의 경우 1위부터 5위(1위 8점, 2위 4점, 3위 3점, 4위 2점, 5위 1점)까지, 신인상은 1위부터 3위(1위 5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