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이뉴스] 안성시의회 최호섭 운영위원장이 인구 7만 명을 돌파한 공도읍에 대해 “더 이상 기존 읍 체계로는 감당이 불가능하다”며 공도읍의 ‘대읍체계’로의 신속한 전환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공도시민들의 행정편익을 높이기 위한 조직·인력 확대와 일부 시청 기능의 공도 이관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최 운영위원장은 최근 발표한 입장을 통해 “공도는 이미 안성시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는 사실상의 신도시”라며 “그런데도 행정조직과 권한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도읍 공무원 1명이 담당하는 주민 수가 약 2,000명에 이르고, 여권 발급 하나만 해도 아직 시청까지 나가야 하는 실정”이라며 “이대로 가면 행정 공백과 주민 불편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공도 7만 시대에 맞는 ‘대읍체계’ 전환은 선택이 아니라 시민의 권리”라고 강조했다.
최 운영위원장은 특히 대읍체계 전환의 핵심을 ▲읍장 직급 4급(서기관) 격상 ▲2개 과(課) 체계 도입 및 인력 증원 ▲여권·산단·환경·도로 등 일부 시청 업무의 공도 이관으로 꼽았다. 그는 “읍장이 서기관으로 격상되고, 공도읍에 2개 과가 신설되면 도로·교통·환경·복지 등 각종 현안을 읍 차원에서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며 “여권 발급, 인허가, 도로 보수, 환경 민원 등도 공도 행정복지센터에서 바로 해결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충북 청주시 오창읍의 사례도 언급했다. 최 운영위원장은 “오창읍은 공도와 비슷한 시기에 인구 7만 명을 넘기며 대읍으로 전환했고, 4급 읍장 체제와 2개 과 신설, 10여 명의 인력 증원을 통해 주민 만족도가 크게 높아졌다”며 “공도도 행정체계만 정비하면 경기 남부 거점도시로 도약할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안성시 집행부의 소극적 태도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안성시는 그동안 ‘인구 7만 명이 넘으면 검토하겠다’고 해놓고, 막상 기준이 충족되자 기준인건비 제도 등을 이유로 발을 빼고 있다”며 “재정 페널티를 이유로 결정을 미루는 사이, 실제 불편은 공도 시민들이 감당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기준인건비 문제는 의회가 이미 중앙정부와 경기도에 제도 개선을 건의한 만큼, 이제는 시장과 집행부가 결단할 차례”라고 덧붙였다.
최 운영위원장은 공도 대읍체계 전환이 공도만의 이익이 아니라 안성시 전체 발전과도 직결되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공도는 서부권 성장축이자 안성의 미래 전략 거점”이라며 “대읍 전환을 계기로 서부권 출장소 설치, 광역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관리 전문화, 교육·복지 인프라 확대 등 안성 전역의 균형발전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공도 7만 시대에는 행정도 7만 시대가 되어야 한다. 행정체계가 늦게 따라오면 불편과 비용은 언제나 시민 몫”이라며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으로서 공도 대읍체계 전환이 조속히 현실화될 수 있도록 입법·감사·예산 심사 과정에서 최선을 다하겠다. 공도시민과 함께 ‘행정이 가장 편한 도시 공도’를 반드시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