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5월 27-28일 경기아트센터 대극장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마스터피스 시리즈 III - 무소륵스키 전람회의 그림’을 진행한다. 공주시충남교향악단 상임지휘자인 정나라 지휘자의 지휘로 무소륵스키 민둥산의 하룻밤, 무소륵스키 전람회의 그림(라벨 편곡), 글라주노프 바이올린 협주곡(협연 : 송지원)을 연주한다.
1부는 무소륵스키가 러시아 남부 키이우(키예프)의 트라고라프라 산에서 매년 6월 24일 열리는 성 요한제의 전설에 영감을 받아 작곡했다고 알려진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으로 문을 연다. 성 요한제 전날 밤 온갖 마녀들이 민둥산에 모여 악마를 기쁘게 하는 잔치를 벌인다는 내용의 곡으로 기괴한 연회 장면을 생생하고 드라마틱하게 펼쳐 19세기 독창적인 관현악 작품으로 손꼽힌다.
2부에는 무소륵스키의 친구 하르트만의 유작 전시회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무소륵스키의 대표작 ‘전람회의 그림’을 연주한다. 이 곡은 독특한 구성과 대담한 표현이 돋보이는 곡으로 이번 연주회에서는 모리스 라벨이 편곡한 관현악 버전으로 연주된다.
또한 ‘콩쿠르 퀸’으로 불리는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이 글라주노프 바이올린 협주곡을 협연한다.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은 레오폴드 모차르트 콩쿠르, 윤이상 국제 콩쿠르, 앨리스 앤 엘레노어 쇤펠드 국제 콩쿠르 등 다수 콩쿠르에서 입상을 한 바이올리니스트다. 협연하게 될 글라주노프 바이올린 협주곡은‘러시아의 모차르트’라 불리는 글라주노프가 직접 바이올린을 배우며 작곡했으며, 차이콥스키 발레 음악을 연상시키는 1악장을 지나 후반부로 갈수록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가 점차 화려해지는 곡으로 유명하다.
■ 공연개요
- 일시 및 장소 : 5/27(금) 오후 8시 경기아트센터 대극장
5/28(토) 오후 5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지 휘 : 정나라
- 연 주 :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 공연시간 : 100분
- 티켓가격 : 1만원~4만원(수원), 1만원~6만원(서울)
- 문 의 : 031-230-3324~5
■ 프로그램
무소륵스키 민둥산의 하룻밤M. Mussorgsky Night on Bald Mountain글라주노프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 작품82(협연 : 송지원)A. Glazunov Violin Concerto in a minor Op.82
무소륵스키 전람회의 그림(라벨 편곡)M.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transcr. for Orchestra by Maurice Ravel)
■ 프로필
지휘 정나라
지휘자 정나라는 미국에서 태어나 5세 때 피아노와 첼로를 시작하였다. 미국 보스턴 월넛힐 예술고등학교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수학하였으며 피바디 음악대학 재학중 도독, Prof. Lutz Köhler., Prof. Gunter Kahlert, Prof. Nicolas Pasquet의 사사로 베를린 국립음대와 바이마르 국립음대에서 오케스트라 지휘전공으로 Diplom과정과 Aufbaustudium-A과정을 최고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이미 만14세에 대전시립교향악단과의 협연으로 피아니스트로서의 데뷔무대를 가졌으며, 만18세에는 미국 보스턴 콜라쥬 뉴뮤직 작곡 콩쿠르에서 1위에 입상하여 작곡가로서의 실력도 인정받아 입상곡 "Korea"가 이듬해 미국 전역으로 생중계되기도 하였다. 독일 바이로이트 시립합창단, 빌레펠트 음악협회 합창단, 빌레펠트 오라토리아 합창단, 빌레펠트 스튜디오 합창단에서는 피아니스트와 지휘자로서 활동하였고, 독일 예나 시립교향악단, 폴란드 테플리체 시립교향악단 등 유럽 각지에서 초청지휘자로서 활동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독일 호프 시립오페라극장, 2011년부터 2013년 6월까지 독일 빌레펠트 시립오페라극장에서 상임부지휘자를 역임하면서 수십 편의 오페라 작품들을 섭렵하며 다양한 극장 경험을 쌓았다.
한국에서는 2013년 대전시립교향악단 신년음악회로 데뷔하였으며 같은 해 6월에 귀국하여 광주시립교향악단, 광주내셔널필하모닉, 전주시립교향악단, 도쿄프라임오케스트라, 부천필하모닉, 서울내셔널심포니오케스트라,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등을 객원지휘하였다. 또한 오페라 ‘아이다’, ‘모세’, 창작오페라 ‘달이 물로 걸어오듯’, ‘운영’의 음악코치 및 연습지휘로 참여하였고, ‘사랑의 묘약’, ‘베르테르’, ‘카르멘’, ‘라트라비아타’, ‘돈조반니’를 지휘하며 본격적인 국내 활동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다.
경기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부지휘자, 용인필하모닉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 강릉 원주대학교 음악대학 및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후학 양성에 힘쓰다가, 현재 공주시충남교향악단 상임지휘자와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겸임교수로 활동하며 참신하고 색다른 기획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층위의 관객들과 마주하며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는 클래식 음악의 저변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
바이올리니스트 송지원은 악기에 대한 탁월한 이해력은 물론, 생동감 넘치는 음색과 섬세하고 입체적인 해석이 겸비된 매력적인 연주를 선보이며 세계 청중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일찍이 한국을 비롯한 세계 유수의 콩쿠르를 휩쓸며 주목받고 있는 송지원은 2017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에서 1위와 함께 박성용영재특별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2016 레오폴드 모차르트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1위 및 청중상, 2014 중국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1위 및 특별상, 2014앨리스 앤 엘레노어쇤펠드 국제 현악 콩쿠르 1위 및 중국 작품 최고 연주상, 2012 샤트 현악 콩쿠르 1위 및 청중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티보 바가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2위 수상을 비롯하여, 칼 닐슨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예후디 메뉴인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돋보이는 성적을 거두었다.
송지원은 10세에 금호영재콘서트 독주회와 서울시향과의 협연으로 데뷔했고, 12세에는 워싱턴 D.C. 케네디센터에서 미국 데뷔 연주를 가졌다. 이후 세계 최정상급 오케스트라인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수차례 협연을 비롯하여 상하이 심포니 오케스트라,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몬트리올 심포니,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서울시향, 인천시향, 부천시향,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성남시향 등 국내외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2018년 데뷔 앨범 'Beethoven &Mozart’가 Klanglogo 레이블로 전 세계에서 발매되었고, 뉴욕의 라디오 방송국(WQXR) 리사이틀 실황 중계를 비롯해, 2020년EBS 스페이스 공감, KBS 안디무지크에서의 독주회 방영,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제17회 평창대관령음악제 등 국내 무대에서 또한 활발히 활동 중이다. 2021년 쇼송, 풀랑크, 포레 등이 수록된 디지털 음원‘Nostalgie’를 발표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에서 김남윤과 구본주를 사사하고 클리블랜드음악원 예비학교에서 데이비드 세론을 사사한 송지원은, 14세의 나이로 커티스음악원 입학 후 이다 카다피안과 쉬무엘 아쉬케나지를 사사하였고 커티스 음악원으로부터 1년간 항공료와 숙박비 등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참가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받는 ‘밀카 바이올린 아티스트상’을 받으며 졸업하였다. 이후 뉴잉글랜드음악원에서도날드와일러스타인과 김수빈을 사사하며 석사과정 및 줄리아드음악원아티스트 디플로마 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세계적인 악기사 Tarisio Trust를 통해 “ex-Curtis” Nicolas Lupot, Paris 1799를 후원자에게 지원받아 연주하고 있다.
경기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잠재력이 엄청난 오케스트라다. 모든 음악을 받아들이고 유연하게 변한다”
- 뉴욕필하모닉 예술감독 Jaap van Zweden -
“젊고 생기 있는 오케스트라... 이런 오케스트라가 있다니 얼마나 멋진 일인가!”
- Der Tagesspiegel -
“동양의 진주를 이제야 발견한 느낌”
- Musikfestspiele Saar 조직위원장/피아니스트 Robert Leonardy -
“경기필을 통해 한국 오케스트라에 대한 갈증을 해소했다”
- Deutschland Radio -
“풍성한 음량과 세밀한 표현력이 매우 인상적인 오케스트라”
- Saarbrücker Zeitung -
경기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1천3백만 경기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문화예술 대중화와 저변확대를 위해 1997년 10월 창단된 경기도립 오케스트라이다. 2018년 9월부터 이태리 출신의 지휘자 마시모 자네티가 예술감독으로 선임되어 베토벤 사이클, 브람스 사이클 등을 진행 중이며 교향곡뿐 아니라 오페라 레퍼토리에서도 연주력을 인정받고 있다. 2022년에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하나로 아우르는 ‘마스터피스 시리즈’로 관객과 만나고 있다.
2008년 중국, 미국 투어를 시작으로 2009년 스페인 발렌시아와 톨레도 페스티벌 초청 공연, 2010년 중국 투어, 이탈리아 투어로 호평 받았다. 특히 2014년에는 일본 Asia Orchestra Week 페스티벌에 한국 오케스트라 대표로 초청 받았으며, 2015년 한국 오케스트라 최초로 독일 베를린 필하모닉홀에서 공연하고 자를란트 뮤직 페스티벌에 한국 오케스트라 최초로 정식 초청을 받아 현지 언론으로부터 호평 받았다.
2016년 오케스트라 선택에 까다롭기로 유명한 마에스트로 리카르도 무티가 경기필을 지휘하며 ‘지휘자의 요구에 민첩하게 반응하는 오케스트라’라고 극찬했으며, 경기필과 함께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무티 오페라 아카데미’를 진행했다. 또한 2017년 또 다시 리카르도 무티가 경기필을 선택하면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2016년 내한공연에서 경기필과 첫 호흡을 맞췄던 핀커스 주커만도 2018년에 다시 경기필과 공연하는 등 세계 유명음악가들과 계속해서 호흡을 맞추고 있다.
그 밖에 슐로모 민츠, 빌데 프랑, 케이트 로열 등 세계 최정상 연주자들과 협연해왔으며, 2017년 아시아 오케스트라 최초로 베를린 뮤직 페스티벌에 초청받고, 폴란드 국영방송 초청으로 카토비체에서 공연하는 등 아시아 주요 오케스트라로 급성장하고 있다. 2018년에는 얍 판 츠베덴, 니콜라이 즈나이더 등 세계적인 지휘자들이 객원 지휘했다.
2015년 한국 오케스트라 최초로 세계적인 음반 레이블인 ‘데카(DECCA)에서 말러 교향곡 5번 음반을 발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