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외교부가 주최한 '제6차 차세대 한국 전문가 연구모임'이 8월 14일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8월 4일부터 8월 14일까지 진행됐으며, 국내에서 유학 중인 23개국 출신 석·박사 과정 외국인 유학생 46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현대모터스튜디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경제안보외교센터 ▴KF 글로벌센터 ▴한-아세안센터 등 다양한 기관을 방문하여 한국의 경제, 문화, 과학기술, 외교, 안보 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한국의 발전상을 직접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전쟁기념관 ▴DMZ ▴캠프 그리브스 견학을 통해 한반도 정세와 안보 현실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이는 한편, 특히 올해는 외교부를 방문해 한국의 젊은 외교관들과 대화하며 한국의 외교정책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뜻깊은 시간도 가졌다.
참가자들은 경제, 문화, 환경, 외교, 안보 등 5개 주제에 대해 조별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마지막 날에는 작성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발표 주제는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의 트럼프 2기 정책 대응 전략 ▴한국 문화외교의 미래: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 ▴플라스틱 사용량 감소에 대한 각국 제도 분석과 한국정책 함의 ▴교육 기반 공공외교의 성과와 과제: 한·독 비교 ▴안보: 남북이슈와 관광이다.
참가자들은 이번 프로그램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활동으로 외교부 방문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견학을 꼽았다. 외교관들과의 네트워킹과 외교부 대변인 브리핑룸 견학은 한국 외교 현장을 직접 눈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며, 한국의 선진적인 환경 정책과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더 깊이 공부해서 자국에도 도입하고 싶다고 밝혔다.
또한 참가자들은 “2주라는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갈 정도로 알찼으며, 세계 여러 국가의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으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과 세계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됐고, 앞으로의 인생에 큰 자산이 될 경험이었다”고 덧붙였다.
'차세대 한국 전문가 연구모임'은 외교부가 한국에서 수학 중인 청년 세대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주요 교류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참가자들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제고함으로써 앞으로도 한국 전문가로서 한국과 세계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