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조지영 안양시의원 5분 자유발언 “공공시설의 태양광 발전 시설 도입 제안”

제304회 안양시의회 제2차 본회의(250718)

 

[와이뉴스] 존경하는 안양시민 여러분,

박준모 의장님을 비롯한 선배·동료 의원 여러분,

최대호 안양시장님과 안양시 발전을 위해 힘쓰시는 공직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호계 1, 2, 3동 신촌동 지역을 대표하는

더불어민주당 조지영 의원입니다.

 

안양시가 기후 위기 시대를 선도하고

에너지 자립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필수 과제로,

공공시설의 태양광 발전시설 도입을 적극 제안하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기후위기는 더 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닌 현재 우리 앞에 놓인 중대한 과제입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 2050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국가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정부 또한 에너지를 소비하는 도시에서

생산하고 관리하는 주체로 전환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공시설에서 태양광 발전을 도입하면 전기요금 절감,

유휴공간의 효율적 활용, 지역 에너지 자립률 향상뿐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실제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1㎾(킬로와트)의 태양광 설비는 설치지역과 설비에 따라 연간 약 1,200~1,400kWh(킬로와트아워)의 전기를 생산하며, 이는 연간 약 600kg의 이산화탄소(CO₂)

감축 효과로 이어집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약 585기가와트(GW) 증가하여

전년 대비 15.1% 증가했으며, 이 중 태양광이 77%를 차지했습니다. 태양광은 이제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신재생 에너지원입니다.

 

우리 안양시도 동안구청, 안양아트센터를 포함한 43개 공공시설에 태양광 시설이 설치되어 연간 3,498.72㎾ 규모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설비의 기초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는 전체 공공시설 대비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불과하며, 더욱 체계적이고 확장 가능한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다른 지방자치단체들의 사례를 살펴보면,

충남 당진시는 환경부 공모사업을 통해 공공하수처리장

2개소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도입하고 총 사업비 14억 원 중

65% 이상을 국·도비로 확보했습니다.

 

전남 광양시는 2016년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으로

하수처리장에 태양광을 설치한 데 이어,

2023년 환경부 공모사업을 통해 3개소를 추가 설치하며

연간 1억 2,700만 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동부간선도로 방음터널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연간 약 3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사업자는 총 30억 원을 투자한 후 전기 판매수익을 통해

회수하고, 부지 임대 수익은 지자체에 귀속되는

기부채납 방식을 적용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안양시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며,

행정적 의지와 계획수립이 병행된다면 재정 부담 없이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안 드립니다.

첫째, 공공시설의 유휴공간을 대상으로 태양광 설치 가능성을 분석하는 전수조사를 조속히 실시하여, 에너지 자립형 공공시설 중장기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하수처리장, 공공청사, 주차장, 복지시설, 방음터널, 교량 등

잠재적 설치 대상지를 면밀히 분석하여, 우선 설치 대상과

추진 로드맵을 구체화해야 합니다.

 

둘째,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중앙부처 공모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국비와 도비를 확보하고,

시의 재정 부담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셋째, 민간의 자본력과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 투자형 기부채납 방식 또는 ESCO 사업 방식을

도입해야 합니다.

 

초기 설치비용은 민간이 부담하고 운영수익을 통해 회수한 후, 시설을 기부하거나 공유하는 방식은 공공에너지 인프라를 지속가능하게 확장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이 바로 안양시가 에너지 자립을 위한 변화를

선택해야 할 최적의 시점입니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실질적 해답으로써, 지금 이 순간부터 공공시설 태양광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우리 시의 선택과 결단은 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하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모두의 지혜와 협력을 통해 안양시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립 도시로 도약하길 희망합니다.

 

이상으로 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