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화성시의회 C의원이 언론중재위원회 직권결정에 불복해 파문이 일 예정이다. 본지가 2020.12.29. 보도한 <민주당 복당하려 언론사에 기사 삭제 요청 시의원 ‘물의’> 기사를 상대로 언론중재위원회 경기중재부(이하 언중위)에 심리를 제기한 화성시의회 C의원이 언중위 직권결정에 이의신청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언중위 조정절차 안내에 따르면 이의신청이 있을 경우 법원에 소송이 제기된다. 언론중재위원회 경기중재부는 앞선 1월 27일 오전 열린 해당 심리에서 직권으로 조정에 갈음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후 신청인 C의원이 언중위에 이의신청을 했다고 언중위는 본지에 전해왔다. 위 기사는 C의원이 민주당 복당을 위해 언론사 지인 등을 통해 2018년 9월 일어난 폭행사건 관련 기사를 지워달라는 요청을 해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의신청 사유를 묻는 질의에 C의원은 "현재 와이뉴스와 소송을 진행 중에 있는데 그와 관련한 사안을 묻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는 내용으로 답했다. 한편, C의원이 삭제 요청한 기사 내용은 C의원이 여성 지인 폭행 혐의로 2018년 9월 경찰에 고소된 사안으로 C의원은 이 사건으로 민주당에서 제명당했다. 이후
[와이뉴스] 2018년 9월 성남시 판교 한 주차장 안에서 지인 여성을 폭행한 혐의를 받아 불구속 입건됐었던 화성시의회 C의원이 친분 등을 활용해 각 언론사에 기사 삭제를 요청해 “언론 탄압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C의원은 “해당 사건은 최종적으로 공소권 없음으로 끝났다. 오래 지난 일이고 제명 당시 억울한 측면도 없지 않다. 중앙 언론사를 비롯해 (언론사들이) 100여 개 기사를 내려줬다”고 입장을 밝히고 있다. 더불어 지역 언론사 사이에서는 2019년부터 “(C의원의) 기사를 내려달라”는 부탁을 받아 실제 기사를 내린 언론사도 더러 존재하는 등 복당을 하려는 '물밑 작업 분위기'가 포착된다는 분석이다. 29일 관련 기관 등의 취재 내용을 종합하면 위 언급된 화성시의회 C의원은 지난해부터 자신의 친분과 인맥을 활용하는 등 중앙은 물론 지역 언론사의 해당 사건 기사를 내려 달라고 요청해 왔다. 이런 요청을 받고 몇몇 언론사들은 해당 사건 기사를 홈페이지에서 삭제했거나 비노출로 전환했다. 기사를 내린 한 인터넷 언론사주는 “부탁한 사람의 얼굴이 있어 마지못해 내려줬다”고 전했다. 또 사건이 불거졌을 당시 화성시 모 지역 언론사는 해당 의원 사건 기사 1
와이뉴스 자매지 'Why 이 사람 제3호 정치인편'이 최근 발간됐다. 이번 호에는 장현국 경기도의장 원유민 화성시의장 조석환 수원시의장 박은경 안산시의장 등 경기 남부 등지에서 활동하는 지역 정치인 14인을 엄선해 수록했다. 수록 정치인은 위 4인을 비롯해 김기정 수원시부의장 김명철 오산시의원 이영주 김현삼 조재훈 최종현 전승희 경기도의원, 한은경 오산시의원, 김경희 구혁모 화성시의원이다. 이영주 발행인은 "누구나 정치인이 될 수는 없기에 우리는 정치인에게 일임하고 믿으려 한다. 시민 기대를 실현해주길 기원한다"고 서문에서 밝혔다. 'Why 이 사람' 시리즈는 세상 곳곳 자신의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충실히 삶을 살아온 이들을 조명하는 책으로 1인 1책 시대를 표방하는 와이뉴스의 대표 자매지다. 낸 책으로 <why 이 사람 제1호 CEO편 황일진의 커피 이야기> <Why 이 사람 제2호 예술인편 태평천하 백성민>이 있다. * 'Why 이 사람 제3호 정치인편' 책 보러 가기 >> http://pod.kyobobook.co.kr/podBook/podBookDetailView.ink?barcode=1400000392829&
와이뉴스 유튜브 채널 구독자가 14일 100명을 돌파했다. 세상 모든 궁금한 와이뉴스는 생생한 취재원의 숨소리, 목소리, 표정 등 다각적인 정보를 전달하고자 유튜브 채널을 생성하고 세상 곳곳 생동감 넘치는 사람 사는 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다. 와이뉴스 채널은 △와이뉴스 외전 책 읽어주는 여자 △현직 기자가 들려주는 글쓰기 특강 △이 기자가 만난 사람 △이 기자가 간다 등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며 수백여 영상 콘텐츠와 수만 회 클릭 수를 보유했다. 와이뉴스는 “앞으로도 사람 사는 이야기, 독자들이 궁금할 사안들을 전하고자 발로 뛰겠다”며 “항상 부지런한 언론이 되도록 힘쓰겠다”고 전했다. 와이뉴스 영상 콘텐츠는 네이버 TV 채널을 통해서도 구독 가능하다.
세상 모든 궁긍한 와이뉴스가 1인 1책 시대 개막을 선포했다. 와이뉴스는 창간 4주년 차를 맞아 '1인 1책 시대 와이뉴스가 열어 드리겠습니다'를 캐치 프레이즈로 본인만의 책을 소장하고픈 독자들에게 책자 제작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최근 밝혔다. 책자는 독자들의 이야기를 싣되 사회 상규와 저작권 등에 저촉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의 모든 사항들을 전할 수 있게 했다. 아울러 책자 제작은 교보문고에서 시행하는 POD방식으로 진행되며 제작된 책자는 개별 구매다. 와이뉴스는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를 따뜻하면서도 객관적인 시선으로 전하고 싶다"며 "제작된 책자를 통해 자신의 삶이 역사가 되고 후손과 뜻깊은 지인에게 전달돼 기록물로서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했다.
쌉싸래한 커피 한 잔은 하루는 물론, 인생의 여유까지 느끼게 해준다. 이러한 커피 한 잔값도 채 되지 않는 금액으로 양질의 언론을 키울 기회가 있어 화제다. 세상 모든 궁금한 와이뉴스가 6일부터 CMS 서비스 및 후원 문자 운영을 시작한다. 이는 뉴스 소비자인 독자가 우량 언론을 선별 선택하고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존 매체도 다수 시행하는 제도다. 세상 모든 궁금한 와이뉴스 CMS 서비스는 최소 1천 원부터 최대 2만 원까지 금액을 책정했으며 문자 후원은 한 통당 2천 원이다. 와이뉴스는 "대다수의 지방 언론이 관공서의 정기 광고에 목말라 하는 현실에서 주체적인 언론 시스템을 정착하기 위해 고심 끝에 시행하게 됐다"며 "이 제도를 통해 언론사의 재정 자립도가 높아지고 그로써 양질의 기사를 생산하는 기조를 이어가길 바란다. 이를 위해 앞으로도 계속 발로 뛰겠다"고 전했다. CMS 후원 바로 가기 >> https://www.ihappynanum.com/Nanum/B/6QWH7OEFFY 문자 후원 번호 #70791205
세상 모든 궁금한 와이뉴스가 창간 3주년 기념 책자 <패러다임 21. vol 02 / 202005>을 28일 출간했다. 2019년 2주년 기념 책자에 이은 두 번째 기념 책자다. <패러다임 21>은 1년간 와이뉴스가 조명한 사람, 사회, 문화, 칼럼 등을 기재했으며 총 411페이지로 구성된다. 제1장 이 기자가 만난 사람에서는 ‘윤창호법’ 제정 손희원 학생 외 고 윤창호 씨 친구들, 삼성 산재 투쟁 10년 만에 산재 인정 한혜경 김시녀 씨 등의 인터뷰를 다뤘다. 제2장 이 기자의 픽(Pick)에서는 여순사건 상흔을 찾아간 르포 기사, 10년이 지나도 끝나지 않은 두물머리 유기농가, 한국가스공사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요구 등 우리 사회 곳곳의 문제들을 두루 다뤘다. 제3장 이 기자의 생각들에서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조이’의 국회 출입, 어느 정치인의 ‘기자 걸레질’ 발언, 늙음에의 탄식에 경종을 울리는 ‘흰머리는 흰머리가 아니다’ 등 사회와 사람을 통찰하는 글을 실었다. 제4장 이 기자가 조명한 문화(Culture)에서는 소설가 이영열 선생의 역사 명작 ‘나는 김구다’, 인문학의 바이블 ‘아주 낯익은 지식들로 시작하는 인문학 공부’, 정치
이은주 원장은 솔직하다. 처음 인터뷰 제의를 했을 때 이 원장은 “‘나다’와 같은 시스템이 주류는 아니에요”라고 말했다. 여기서 ‘주류(主流)’라 함은 입시 위주의 암기식 교육을 말함이요, '주류가 아니라 함'은 학생과 강사가 매주 새로운 책을 읽고 그 내용에 관해 사유하며 열린 토론을 진행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인 글로 표현하는 활동을 이른다. 주류는 아니나 자신의 길을 걸어가며 끊임없이 주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을 멈추지 않는 학원, 수원 영통 <나다국어논술학원>이다. <나다국어논술학원>은 초중고 독서토론논술, 중고 국어 내신, 고교 대학 입시와 특목고 자사고 입시 준비, 학생부 종합전형과 논술 등의 대입 준비도 진행하는 자타공인 국어 전문 학원이다. 이 원장의 전언대로 ‘나다’가 초대형 학원은 아니나 그 안에서 이뤄지는 소통은 청정하고 귀하다. 강사와 학생 간의 소통, 원장과 강사 사이의 의사 교환 등이 대체로 수평적 위치에서 이뤄지는 점이 그러하고, 누구든 등원하는 학생들에게 마음을 열고 수업한다는 점에서 또 그러하다. 쟁쟁한 실력의 강사진은 말할 것도 없고. 훌륭한 강사들이 포진했다는 것은 그 영양분이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전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