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신조어 '알잘딱깔센'은 '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 있게'의 줄임말이다. 여기서 더욱 줄여 '알잘딱'이라고도 한다고 전해진다. 유명 스트리머가 최초 사용하면서 호응을 얻게 됐다고 알려졌다. 한편으로 MZ세대들에게는 직장에서 해당 업무를 제대로 알려주지 않은 채 본인들이 알아서 잘 하라는 의미로 수용돼 부정적 맥락도 함의한다고.
[와이뉴스] 신조어 '쉽살재빙'은 '쉽게만 살아가면 재미없어, 빙고!'의 줄임말이다. 이는 2004년 11월 16일 발매된 3인조 혼성그룹 '거북이'의 정규 앨범 3집 후속곡 '빙고'의 후렴구로 알려져 있다.
[와이뉴스] 민주주의의 의의는 다음 8가지로 발음되며, 이는 모두 표준발음이다. [민주주의의 의:의], [민주주의의 의:이] [민주주의에 의:의], [민주주의에 의:이] [민주주이의 의:의], [민주주이의 의:이] [민주주이에 의:의], [민주주이에 의:이] 관련하여, 단어의 첫음절(첫 글자)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는 문법규칙이 적용된다. 따라서, 4번째 음절인 '의_민주주의'가 '이[이]'로도 발음된다. 두 번째 어절의 두 번째 음절 '의_의의'도 마찬가지 이치다. 다섯 번째 음절인 관형격 조사 '의_민주주의의'는 '[에]'로도 발음이 허용된다. '나의'를 '나에'로도 발음하는 것과 같다. 다만 첫음절의 '의'는 '의'로 발음하여야 한다. 예컨대 '의자'를 '이자'나 '에자'로 발음하는 것은 허용되지 아니한다. -자료 참조: 이화여대 국어문화원
[와이뉴스] 시방(時方)은 '말하는 바로 이때(에)', '지금' 등을 의미하는 표준어다. 충청도 등의 방언으로 전해지기도 하지만 때 시時 모˚ 방方을 쓰는 한자어이며 표준어로 등재돼 있다. 용례) 시방도 고개턱 하나를 넘었다. : 이때에도 ~ ˚모: 방위 -출처: 네이버 표준국어대사전
[와이뉴스] 제주어 '비바리'는 표준어 '처녀'를 뜻한다. 용례) 비바리덜 아니꽈? : 처녀들 아닙니까? -출처: 제주도청 제주어사전
[와이뉴스] 제주어 '무사'는 표준어 '왜'를 뜻한다. 용례) 무사마시? : 왜 그러세요? -출처: 제주도청 제주어사전 ˚[말듣쓰] 섹션은 '말하기·듣기·쓰기'의 줄임말로, 신문사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이들의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충족함과 아울러 소중한 우리말을 기리고자 사라져 가는 방언, 고유어 마을이름, 신조어, 속담, 격언, 명언, 관용구, 국어 문법 등의 그야말로 말하기 듣기 쓰기와 관련된 전반적 내용과 더불어, 더 나아가 단편소설 요약 및 창작 당시의 사회적 배경까지도 기재해 보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