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뉴스] 7월 20일 안성시의회 최호섭 의원이 진행한 제37차 ‘찾아가는 민원신문고’가 공도읍 부영아파트 인근 38국도 확장공사 구간에서 열렸다. 최 의원에 따르면, 주민들은 한목소리로 “도대체 누구를 위한 공사냐”며 행정기관의 무책임과 무관심을 성토했다.
한 자영업자는 “작년부터 벌써 다섯 번이나 케이블이 끊기고, 한 주에 두 번씩 영업이 중단된다”며 “매번 피해는 우리가 보는데 누구 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고 호소했다. 통신 장애, TV 수신 불능, 광케이블 단선 사고가 반복되고 있지만, 시공사·서울국토관리청·안성시가 서로 책임을 회피한다는 것이 현장의 공통된 불만이다.
또 다른 인근 상가 대표는 “공사 전과 후를 비교하면 매출이 절반 이상 줄었다”며 “진입로가 막혀 손님이 아예 못 들어온다. 6개월째 이런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정말 환장할 노릇”이라고 토로했다.
특히 상가 앞 주차장에 포크레인이 장시간 세워져 있고, 기사들이 주차하고 식사하러 가든지 차량에서 취침을 하면서 영업이 불가능해지고 있다는 하소연도 나왔다.
인터넷 단선으로 무인 키오스크가 작동하지 않아 손님이 돌아간 사례도 빈번하다. 한 매장 대표는 “3일 동안 인터넷과 전화가 모두 끊겨 고객 주문 자체가 불가능했다”며 “특히 무인 주문 시스템을 사용하는 가게는 손님들이 불만을 터트리고 그냥 나가 손해가 막심하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서울국토관리청은 남의 일처럼 굴고, 안성시는 현장에 나와 본 적조차 없다. 시장은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며 “이게 과연 안성시민을 위한 공사가 맞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일부 주민은 “국토위 소속 안성 지역 국회의원에게 직접 민원을 제기했지만, 아무런 후속 조치가 없었다”며 “정말 한심하고 무기력한 정치의 민낯을 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최호섭 안성시의회 운영위원장은 “오늘 민원신문고에서 확인한 피해 상황은 더 방치할 수 없는 심각한 수준”이라며 “서울국토관리청, 시공사, 감리단, 안성시청, 국회의원실 모두에게 강력히 요청하여 피해 복구 및 보상 대책을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반복되는 공사 피해와 무책임한 행정의 구조적 문제를 의회 차원에서 반드시 바로잡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