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여기_어때] ㊳안산시_단원고 4.16기억교실

 

[와이뉴스] 4.16세월호 참사는 2014년 4월 16일 오전 8시 50분경 전남 진도군 조도면 부근 해상에서 여객선 세월호가 전복돼 침몰한 사고다. 탑승 476명을 수용한 청해진해운 소속 인천발 제주행 연안 여객선으로 4월 16일 오전 8시 58분 병풍도 북쪽 20km 인근에서 조난 신호를 보냈다. 참사로 시신 미수습자 9명을 포함한 304명이 사망했다. 


참사 원인으로 무리한 화물적재와 증축,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 관제 허술과 초기 대응시간 허비, 초동대처 실패 등을 꼽는다.

 


2015년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1기 특조위)가 출범했다. 세월호참사 직후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출범했으나, 당시 새누리당의 반대로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받지 못하는 등 조사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조위는 활동 기한 연장 요청에도 당시 정부와 새누리당 반대 속에 2016년 6월 활동을 종료했다.


세월호 유가족과 416교실 지키기 시민모임 등은 2015년 10월 26일부터 2016년 4월 8일까지 6개월 가량 교실 존치를 위해 경기도 교육청 앞 피켓팅을 진행했다. 2016년 5월 9일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7개의 기관(단원고등학교, (사)4.16가족협의회, 경기도, 경기도교육청, 경기도의회, 안산시, 경기도안산교육지원청)이  단원고등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해 (가칭)4.16안전교육 시설 건립과 단원고 존치교실의 한시적 이전 등 사회적 합의를 체결했다.

 


단원고 4.16기억교실은 2014년 4월 16일자로 멈춰진 단원고등학교 2학년 1-10반 교실 교무실 칠판 게시판 천장 비품 복도 등의 기록물이다. 2021년 12월 27일 국가지정기록물로 지정됐다.


4.16기억저장소 기록을 토대로 2019-2020년, 2년에 걸쳐 단원고에서 사용하고 있던 세월호 참사 희생자 교실의 모든 것을 문화재 건축 전문 시공사 참여로 철거했다. 이후 2020년 10월부터 원형복원 공사로 4.16민주시민교육원 기억관에 완공됐다.

 


4.16기억교실은 단원고 희생자 261명의 사용 공간을 전부 그대로 재현한 기억공간이자 단원고 희생자들을 가까이에서 만나고 기억할 수 있는 집합적 추모공간으로 공간기록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단원고 학생 2학년 1반 18명, 2반 25명, 3반 26명, 4반 28명, 5반 27명, 6반 25명, 7반 32명, 8반 29명, 9반 20명, 10반 20명과 교사 11명 총 261명, 일반인 희생자 43명까지 모두 304명이 세월호 참사로 희생됐다. 

 


임지연의 논문*에 의하면, 생존자의 죄책감은 죽은 자 앞에서 느끼는 부정적 감정이다. 현실적으로 사과하고 용서를 구할 수 없기에 죄책감은 지속된다. 


(사람들은 생존자의) 트라우마 이야기는 “지독히 끔찍한” 것이어서 “크게 관심을 갖는 사람이 없다”. 상상할 수 없는 끔찍한 말을 들어야 하는 이들은 불쾌감 때문에 관심이 없거나 듣기를 거절한다. 혹시 귀를 기울여 듣는 자가 있더라도 말하는 자의 체험에 감각적으로 접근하기 어렵기도 하다.


저자 유가영**은 “우리가 특정 목적을 가지고 사용하는 말들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이 “필요”함에도 그들이 자신의 말을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챘다. 듣는 이들이 원하는 것은 트라우마를 “훌륭하게 극복한” 영웅 서사였기 때문이다. 저자는 자신이 그러한 서사를 재구성할 수 있다고 믿었지만, 실패했다. 


PTSD는 완전한 회복이란 없으며 생존자의 일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퍼져가기에 치유와 실패는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 임지연, "세월호 생존자의 치유-과정적 자기 서사-'말하기'와 '말걸기'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70권,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01. 
** 4.16세월호 참사 당일 생존한 단원고 2학년 학생 가운데 한 명이었다. '바람이 되어 살아날게'의 저자. 
-자료참조: 재단법인 4.16재단, 4.16기억저장소, 안산온마음센터 등
※ 촬영: 2024.04.17.